'#네이처 카탈리시스' 태그의 글 목록 :: 의미있는 나의이야기

미생물에서 화학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합성 경로를 지도로 완성

 

 

- 바이오 기반 화학제품 산업적 생산에 유용하게 활용 가능 - 

 - 학술지‘네이처 카탈리시스’에서 관련 지도를  세계에 배포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신성철)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 바이오매스인 미생물로부터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경로를 정리한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 지도 개발·완성하였다.

 

 o 연구팀은 화학물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바이오 화학 반응들에 대한 정보를 망라하여, 생명공학자들이 쉽게 활용할 있게끔 지도 형태로 정리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o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연구결과가 국제적인 학술지인 네이처 카탈리시스(Nature Catalysis) 표지논문으로 1 15 게재되었다고 밝혔다.

 

    ※ 논문명 : A comprehensive metabolic map for production of bio-based chemicals

     저자 정보 : 이상엽(한국과학기술원, 1저자 및 교신저자), 김현욱(한국과학기술원, 2저자), 채동언(한국과학기술원, 3저자) 포함 총 10

 지금은 석유로부터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지구온난화  글로벌 기후변화를 유발하고 있다. 이에, 세계 국은 친환경적 방법으로 화학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미생물을 활용한 화학물질 생산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미생물과 같은 바이오매스 원료에 생물공학적 또는 화학적 기술을 적용해 화학원료·연료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을 바이오 리파이너리(Bio-Refinery) 한다.

 o 바이오 리파이너리의 생물공학적 방법 ‘시스템 대사공학*’만을 100% 적용하여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사례가 점차 늘고 있지만, 생물공학 방법과 화학반응의 통합공정이나 화학공정만을 활용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인 경우도 많다.

 

  * 시스템 대사공학 : 미생물의 복잡한 대사회로를 효과적으로 조작해 화학물질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핵심기술

 

 o 이번에 구축한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 지도 화학물질 생산을 위한 생물공학적·화학적 반응 전체에 대해 최적의 합성 경로를 구축 것으로, 앞으로 바이오 기반 화학제품 생산 연구에 귀중한 기초자료로 활용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네이처 카탈리시스는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 지도를 포스터로 제작하여 관련 분야의 산업계, 연구계에서 활용할 있도록 세계에 배포할 계획이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지도 앞으로 시스템 대사공학이 나아가야 방향과 아이디어의 청사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o “이는 향후 친환경 화학은 물론 의료·식품·화장품 분야 다양한 산업 매우 유용하게 활용 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기정통부「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의「바이오 리파이너리를 위한 시스템대사공학 원천기술개발」과제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붙임자료>  1. 연구결과 개요       2. 용어설명             3. 연구이야기  

            4. 그림설명             5. 연구진 이력사항    <별첨> 포스터

 

 

 

붙임1

 

연구결과 개요

□ 연구배경

  바이오 리파이너리는 바이오매스 원료에서 생물공학적·화학적 기술을 이용해 화학제품·바이오연료 산업 화학물질을 친환경적으로 생산하는 연구분야에 해당한다. 바이오 리파이너리에서의 “시스템 대사공학”은 미생물의 복잡한 대사회로를 효과적으로 조작하여, 바이오매스 원료로부터 산업 화학물질의 생산능을 최대치로 끌어올릴 있는 핵심기술이다.

  지금껏 석유화학공정을 통해서 합성되던 화학물질들 중에는 미생물 시스템 대사공학을 통해서 100% 바이오 기반으로 생산되는 사례가 점차 늘고 있지만, 통합된 바이오화학공정이나 석유화학공정만을 활용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인 경우도 많다. 맥락에서 주요 산업 화학물질들에 대한 최적의 합성 경로들에 대한 정보는 시스템 대사공학 기반 산업 화학물질 생산 시스템 디자인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있다.

  이에 연구팀은 주요 산업 화학물질들을 생산하는 데에 활용될 있는 관련 바이오, 화학 이들의 통합된 합성경로 정보가 담긴 “바이오 화학물질 합성 지도”를 개발하였다.

 

□ 연구내용

  이번 연구에서 완성한 이른바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 지도는 주요 산업 화학물질들이 어떤 경로를 통해서 효율적으로 생산되는지 눈에 알아보는 것을 가능케 한다. 지도에는 화학물질들을 생산하는 데에 관여하는 바이오 화학반응들에 대한 정보들이 담겨있으며, 주요 화학물질의 전구체가 생산되는 해당 미생물 대사경로를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연구에서는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 지도에 언급된 화학물질들에 대한 분석도 포함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바이오 내지는 화학반응을 통해 생산된 현재까지의 최고 생산농도, 수율, 생산성, 그리고 산업화 현황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앞으로 어떤 산업 화학물질을 시스템 대사공학을 통해서 생산할지 결정하는 데에 도움을 있다.

 

  연구에서는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 지도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시스템 대사공학 바이오리파이너리 분야의 문제를 언급하고, 이에 대한 해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화학물질 생산을 산업화 수준으로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가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을 갖는 연구진들 간의 유기적인 팀워크, 더욱 강력한 합성경로 예측 프로그램 개발, 바이오매스 원료 외의 다양한 탄소 자원의 활용, 효율적인 발효 전략 공정한 이익분배 등을 강조하고 있다.

 

 

 

붙임2

 

 용어설명

 

1. 대사공학 (metabolic engineering)

  대사 물질의 생산경로 조작을 통해 목적 대사물질의 생산을 최적화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대사공학은 생산경로 유전자의 과발현, 경쟁경로 유전자의 제거, 또는 외래 유전자의 도입 등을 통해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대사경로를 변형시킴으로써, 원하는 산물의 생산을 극대화 시키고자 하며, 과정에서 컴퓨터 모델링을 비롯한 다양한 공학도구들이 사용된다. 미생물을 이용해 생산 가능한 다양한 화학물질들은 에너지, 식품, 의약, 화장품, 화학산업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2. 시스템 대사공학 (systems metabolic engineering)

  기존 대사공학적 기법과 시스템생물학, 합성생물학 진화공학 기법 등과의 융합을 통해 체계적으로 미생물 대사를 재설계하여 목표 화학물질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학문이다. 기술은 2016 세계경제포럼에서 2016 10 떠오르는 기술’에 선정된 있다.

 

붙임3

 

 연구이야기

 

연구를 시작한 계기나 배경은?

바이오 기반으로 산업 화학물질을 만들 , 주로 미생물과 같은 생명 시스템만을 사용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생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화학반응을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어떠한 경우에, 어느 정도로 화학반응을 활용할 지에 대한, 거시적인 과점에서의 정보는 매우 드물다. 이러한 이유로, 주요 산업 화학물질이 지금까지 어떻게 생산되어져 왔는지, 이에 대한 정보를 망라한 자료를 만들면 연구진 포함 분야의 모든 연구원들에게 좋은 자료로 활용될 있을 같아,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연구 전개 과정에 대한 소개

먼저 바이오리파이너리를 통해 생산 가능한 화학물질들을 이들의 전구체가 생합성되는 대사회로에 따라 그룹화 하였다. 그룹들에 대해서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대사경로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지만 엔지니어링을 통해 만들어진 대사경로들을 모두 정리하여, 바이오 화학물질 합성 지도를 준비하게 되었다. 바이오 기반으로 생산되는 화학물질들 뿐만 아니라 바이오와 화학적 전환을 통합하여 합성할 있는 모든 화학물질들에 대한 정보도 포함시켰다. 이를 기반으로 화학물질들에 대해 지금껏 알려진 최고 생산농도, 수율 생산성 등에 대한 정보 또한 모두 정리하여, 주요 화학물질 생산에 대한 분석을 용이하게 하였다. 과정을 통해 바이오 화학산업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을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바이오 화학산업이 해결해야 문제들을 정확히 짚을 있었다.

 

 

연구하면서 어려웠던 점이나 장애요소가 있었다면 무엇인지? 어떻게 극복(해결)하였는지?

많은 수의 화학물질에 대한 대사회로 최대 생산농도, 수율, 생산성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보하고, 이들을 논리정연하게 정리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제대로 공개되지 않은 산업정보를 수집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학물질들에 대한 조사를 주제별로 10명의 저자들이 나누어 진행하였고, 추가 실수가 없는 반복적인 확인 작업을 거쳤다. 많은 노력을 기울인 끝에 만족스러운 연구 결과를 얻을 있었다.

 

 

이번 성과, 무엇이 다른가?

연구에서 개발된 바이오 화학물질 합성 지도는 기존의 대사경로 지도 대비 산업적 관점에서 대사경로 화학적 반응들을 재구성하였다는 점이 가장 다른 점이다. 이를 통하여 오랫동안 진행되어온 시스템 대사공학 연구 산업화의 현황을 확인할 있으며, 주요 화학물질들의 다양한 합성경로를 시각적으로 번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지도는 앞으로 새로이 생산할 목표 화학물질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합성 시스템을 디자인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루고 싶은 목표와, 향후 연구계획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화학물질들의 대부분은 석유화학을 기반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앞으로 더욱 많은 수의 화학물질들이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바이오리파이너리 기반으로 생산·산업화될 있도록 관련 연구를 꾸준히 진행할 계획이다. 이미 우리를 포함한 세계가 기후변화를 고통스럽게 겪고 있듯이, 바이오리파이너리 기반의 산업 화학물질 생산은 이상 선택사항이 아닌, 필수사항이다.

 

 

붙임4

 

 그림설명

 

[그림 1] 바이오 화학의 통합된 방법을 통해 생산할 있는 대표적인 산업 화학물질 이들의 합성경로

미생물을 통해 생산된 화학물질 전구체를 화학적으로 추가로 전환하며 산업적으로 유용한 최종목표 화학물질을 생산한 대표적인 예시들을 정리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41929_2018_212_OnlinePDF_페이지_0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54pixel, 세로 2197pixel

 

 

 

 

붙임5

 

 이상엽 교수[교신저자] 이력사항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이상엽 교수 (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1pixel, 세로 351pixel 사진 찍은 날짜: 2005년 09월 26일 오후 2:19 카메라 제조 업체 : HP 카메라 모델 : HP psc2300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7.0 색 대표 : sRGB EXIF 버전 : 0220

 

1. 인적사항  

   : KAIST 생명화학공학과

  :  042-350-3930

  e-mail : leesy@kaist.ac.kr

 

 

2. 학력

  1986: 서울대학교 (학사: 화학공학 전공)    

  1987: 노스웨스턴 대학 (석사: 화학공학 전공)  

  1991: 노스웨스턴 대학 (박사: 화학공학 전공)  

 

3. 경력사항

  1994 - 1996: KAIST 화학공학과 조교수  

  1997 - 2002: KAIST 생명화학공학과 부교수 

  2002 - 현재: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2004 - 2010: LG 화학 석좌교수

  2007 - 현재: KAIST 특훈교수    

  2008 - 2013: 학장, 생명과학기술대학

  2003 - 현재: 소장, 생물정보연구센터

  2000 - 현재: 소장, 생물공정연구센터

  2013 - 2015: 원장, KAIST 연구원

  2014 - 현재: 위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14 - 현재: 명예교수, 중국 우한대학, 호북공업대, 북경화공대학교

  2017 - 현재: 원장, KAIST 연구원

  

4. 전문 분야 정보

  이상엽 특훈교수는 가상세포 초고속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생명체를 연구하는 시스템 생물학과 재생가능한 바이오매스로부터 화학물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분야인 대사공학의 세계적인 전문가다. 융합 연구를 통한 시스템 대사공학으로 ▲생분해성고분자 ▲세계 최고 효율의 숙신산 생산 기술 개발 ▲필수 아미노산인 발린과 쓰레오닌의 고효율 맞춤형 균주 개발 ▲가상세포를 이용하여 강건성을 비롯한 생명체 연구 ▲최근에는 나일론의 원료가 되는 다이아민 생산 균주와 플라스틱 원료로서 기존의 석유를 대체할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유산 생산 개발, 강철보다 강한 거미줄 개발 ▲차세대 바이오 연료인 부탄올의 고효율 생산 균주 개발, ▲인체 질환 치료와 연계된 시스템생물학 연구 대사공학과 시스템생물 합성생물학, 산업바이오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주목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

 

 

 

  KAIST에서 24 동안 대사공학과 시스템 생명공학에 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여 그간 국내외 학술지논문 607, proceedings 논문 156,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2384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기조연설이나 초청 강연을 542여회 있으며, Metabolic Engineering (Marcel Dekker 발간), Systems Biology and Biotechnology of E. coli (Springer 발간), Systems Metabolic Engineering (Springer 발간)  다수의 저서가 있다. 그간 637건의 특허를 국내외에 등록 혹은 출원하였.

 

 

   교수의 주요 수상 펠로우 선임 내역은 다음과 같다: 1 젊은 과학자상 (대통령, 1998), 미국화학회에서 Elmer Gaden Award (2000), Citation Classic Award (미국 ISI, 2000), 대한민국 특허기술 대상 (2001), 세계경제포럼 아시아 차세대 리더 선정 (2002),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 (2003), KAIST 연구대상 (2004), 한국공학한림원 젊은 공학인상 (2005) 등을 수상하였고, 미국미생물학술원 (American Academy of Microbiology) 펠로우 (fellow) 선임 (2006), 우리나라 처음으로 Science지를 발간하는 미국 AAAS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펠로우 선임 (2007), KAIST 특훈교수 임명 (2007), Merck Award for Metabolic Engineering Award (2008) 수상, 상위 10 특허등록 우수 연구자 선정 (2009), 미국 산업미생물학회(Society for Industrial Microbiology) 펠로우(Fellow)' 미국공학한림원(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NAE) 외국회원(Foreign Associate) 선임 (2010), 미국국립과학원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NAS) 외국회원 선임 (2017), 미국화학회의 Marvin J. Johnson Award (2012), 미국 산업미생물 생명공학회(Society for Industrial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Charles Thom Award (2012), 생명공학 우수연구 공로상인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상 (2012), Amgen Biochemical Engineering Award (2013), The 1st Jacobus vant Hoff Lectureship Award (2013), KAIST 학술대상 (2014), KAIST R&D 대표연구성과 10 선정 (2014), 호암공학상 (2014), 홍조근정훈장 (2015), James E. Bailey Award (2016), KAIST 공적대상 (2017),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2017), George Washington Carver Award (2018), Eni Award (2018) 등을 수상하였다.

 

 

  현재 Metabolic Engineering Biotechnology Journal,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편집장을 맡고 있으며,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Genome Biology,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BMC Systems Biology, mBio 20여개 국제학술지의 편집인, 부편집인,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 Recent posts